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4

어림셈법 휴리스틱

마케팅을 공부해본 사람이라면 휴리스틱이란 단어에 대해 들어봤을 것이다 한국말로도 어림셈법이라는 이 단어는 이해를 하라면 하겠지만 명확하게 설명을 하라고하면 예시없이 설명하긴 좀 난해한 부분이 있는 것 같다 진화적인 관점에서 설명을 하면 인간이든 어떤 동물이든 생존을 위해서는 천천히 시간을 두고 생각을 하기보단 빠르게 판단하고 행동하는 것이 굉장히 유리했다 내가 죽을 것 같은 위기에 처해있는데 판단을 못내리고 갈팡질팡하고 있으면 생존확률이 극히 낮아지기 때문에 이 휴리스틱이라는 것이 발달했다고 한다 그런데 꼭 최근이 아니라 인간이 문화적인, 사회적인 동물이 되면서부터는 이게 그렇게 썩 좋게만 작용하진 않는다 인간이 1초에 보는 시각정보만 200만장에 청각에 촉각에 온갖 정보를 합치면 우리가 알지도 못하는 ..

심리학 2021.03.31

심리학의 원리(3)

지난 번 글에서 원래 짜투리로 쓰려했던 '기억과 언어'에 대한 글을 쓰다가 길어져서 이번글까지 이어지게 되버렸다 이 짜투리 글이 아닌 심리학의 원리(2)에 이어지는 글을 읽고 싶다면 이 글은 패스해도 좋겠다 지난 글 마지막에 언어라는 것이 참 신기한 녀석이라고 했다 이것을 위해 뇌의 구조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을 하자면 뇌는 크게 구분을 하자면 3가지로 나눌 수 있다(이것도 3가지네?) 1) 파충류의 뇌 (본능적인 부분을 담당하며 무의식이라고도 할 수 있다) 2) 대뇌 변연계 (감각적인 것을 담당하며 생각이나 행동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3) 신피질 (대뇌피질이 대부분이라 그냥 대뇌피질이라고도 하는 것 같다. 언어, 논리 등의 사고에 관련된 역할을 담당한다) 이렇게 구분되는 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2번과 ..

심리학 2021.03.22

심리학의 원리(2)

저번 글에서 '심리란 일종의 신경작용'이라고 했다 그렇다면 심리학을 구분을 해보면 어떨까 신경계를 구분하자면 1)자극을 받아들이는 신경 섬유 2)자극의 방향을 조정하는 중추 신체 기관들 3)자극을 방출하는 신경 섬유 로 이뤄져 있다 이 것처럼 심리학을 구분을 해보자면 1) 감각 2) 사고(이해) 3) 행동하려는 성향 으로 구분해 볼 수 있다 그래서 앞으로의 글들에서 하나씩 다뤄가며 글을 써볼 예정이고 이 글에서는 쓸데없을 수 있지만 인간을 특별하게 만든 '기억과 언어'에 대해 조금 써볼까 한다 우리 인간은 누구나 알다시피 3차원적인 존재이다 굳이 1차원, 2차원 등등에 설명을 덧붙이진 않겠다 근데 신기한 것은 3차원적인 존재는 사실 3차원을 인식하지 못하고 2차원까지밖에 인식하지 못한다 그런데 3차원을 ..

심리학 2021.03.22

심리학의 원리(1)

이제 현대인들은 정보가 넘쳐나기 시작하며 원하는 정보를 손쉽게 찾을 수 있게됐다 그 중에서도 가장 인기가 많은 것중 하나가 심리학이다 현대인들중 심리학이라는 단어를 못들어본 사람은 없을 것이다 그럼 다들 심리학, 심리학 하는데 도대체 심리학이란 무엇일까? 심리학에 대한 정의로는 '의식의 상태들에 대한 묘사와 설명' - (by조지 래드)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다른 정의들도 있을 수 있지만 결국은 의식의 상태들인 감각, 욕망, 감정, 인식, 추론 등 이것들에 대한 원인, 조건, 영향들에 대한 연구이다 이 심리학은 심리라는 부분은 내면에 대한 부분이다보니 철학에 의해서 발달될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유명한 과거의 소설가들은 뛰어난 심리묘사를 표현하며 사람의 심리를 꿰뚫는 표현들을 많이 썼는데 대부분 철학자도..

심리학 2021.03.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