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34

운명

우스개 소리로 그런 이야기가 있다 그리스 로마시대의 사람들처럼 산다면 인생의 걱정없이 가장 행복하게 살 것이라고... 기억나는 문장이 있는데 인간이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 시간이 빨리가는 것을 "시간의 신이 질투하셔서 시간이 빠르게 흘러간다" 라는 ..?? 어쨋든 그 시대의 사람들은 뭐가 기분나쁘거나 잘 못되거나 안되거나 하면 모두 신탓으로 돌려서 살기때문에 개인으로선 삶의 만족도 최상이라고... 운명에 대해서도 같은 시선이다 요새는 조금 다르다고 하면 잘되면 내 탓 안되면 네 탓 같은 느낌이 있지만 우리가 이 것에 대해서 인정해야 할 것이 있다 잘됐든 안됐든 어쨋든 지금의 현실이 스스로가 만든 것이라는. 프레임에서도 이야기 했지만 우리는 문제를 만났을 때 우리의 프레임에 따라 계속 같은 방식으로 대처하고..

심리학 2021.04.04

제 3의 시선(공정한 관찰자)

비교대상이 맞을진 모르겠지만 동양에 논어가 있다고 하면 서양엔 도덕감정론이라는 것이 있다 이 도덕감정론은 '보이지 않는 손'으로 유명한 경제학의 대가 '애덤 스미스'님이 집필하신 책인데 인간에 대한 통찰을 담은 책이다 이 책의 두께는 상당하고 문장또한 막 술술읽히게 쓰여져 있는 쉬운 책은 아니기에 많은 사람들이 읽기를 포기하는 책이기도 하다 ㅎㅎ 제 3의 시선인 공정한 관찰자라는 개념은 이 책에서 나온다 이게 무엇일까? '나의 행동이 옳은지 공정하게 알려주는 가상의 인물' 이다. 요새들어서 읽은 책들에서는 잘 못봤던 것 같기도 한데 예전에 심리학 책들을 읽을 때 저런 비슷한 개념이 있었다 나에게 심리적인 문제가 있거나 했을 때 보통은 이걸 너무 '개인화'하기 때문에 더 심각해지고 작은 것을 더 크게보는 ..

심리학 2021.04.04

프레임

어디에서나 쓰이는 이 프레임이란 단어는 인간의 심리를 다루는 곳에서도 많이 등장한다 협상을 다루는 책에서도 이 프레임을 이용하여 하는 것도 있고 연애에 관련해서도 자기계발에서도 꼭 나오는 단어이다 프레임이란 말그대로 하나의 틀이다 그런데 사람은 이 틀에 의해 생각이 좌지우지 되고 또한 그대로 살아가게 된다 그런말이 있지 않은가 " 생각대로 살지 않으면 사는대로 생각하게 된다 "고 여기서 생각대로 산다는 것은 그냥 아무 것도 안하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생각의 범위를 늘리고 발전시키면서 하는 생각이 될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우리는 이 '프레임'이라는 것 때문에 사는대로 생각하고 그 생각대로 살며 또 사는대로 생각되는 이 우리가 갇혀있는 프레임대로 살것이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프레임을 변화시키고 싶..

심리학 2021.04.04

심리학의 원리(6) - 행동하려는 성향

인간의 생각이나 경험들을 통해 형성된 심리들은 결국 행동으로 나타나게 된다 이 것은 크게 감정, 본능, 의지로 나눠서 설명할 수 있다. 감정 우리는 항상 주위에 대해 혹은 내가 감각적으로 경험하는 것들에 대해 느끼려 하는 성향이 있다. 감정을 느끼는 우리는 육체적으로 '표현'을 하게되는데 감정적 조건과 본능적 반응을 구분하기가 어려운 편이다 내 생각으로는 본능이라는 행동은 감정이라는 것의 부분집합이라는 느낌인데 본능적인 행동의 대부분은 감정이라는 것이 연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감정의 경우엔 본인 스스로 느끼고 끝나지만 본능의 경우엔 일어나게 되는 순간부터 반응이 일어나고 그 반응을 일으키는 대상과 실질적 관계속으로 들어간다 본능 환경 안에 어떤 대상이 있을 때 행동하려는 성향은 본능이다 본능적이라고..

심리학 2021.04.04

테스토스테론과 성차와 뇌

테스토스테론이란 호르몬에 대해선 아직 확정된 것이 없다고 하지만 확연히 차이나는 것은 있다. 성별에 따라 분비하는 양이 다르다는 것? 대체적으로 남성이 많은 테스토스테론을 가지고 태어나며 많이 분비하고 여성은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을 많이 가지고 태어난다 물론 남성이든 여성이든 개인에 따라 꼭 그렇지만은 않겠지만 일반적으로, 대체적으로 그렇고 우리 또한 학교에서 그렇게 배운다 그런데 이 테스토스테론을 분비하는 힘을 가지고 태어남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 또 있다고 한다 바로 뇌의 크기이다 물론 인체실험은 할 수 없지만, 치료목적에 의해서 임신기간에 테스토스테론을 주입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이들의 동의를 통해서 꽤 오랜기간을 들여 관찰을 한 결과 남성의 뇌가 크고 시냅스의 양도 30%가량 많았다고 한다. ..

심리학 2021.04.04

통찰

나는 통찰이란 단어를 굉장히 좋아하고 내가 추구하는 것이기도 하다 내가 생각하기에 통찰이란 것은 대게 '원리'를 제대로 아는 것 혹은 무언가를 원인을 제대로 파악하는 것이라 생각한다 그런데 이 통찰이라는 것을 방해하는 요소중 하나가 메뉴얼과 절차다 메뉴얼과 절차가 필요한 것은 어느곳일까? 어느 조직에도 다 있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듯이 '많은 사람을 통제하는 곳'이다 이 메뉴얼과 절차는 나름대로 조직을 효율적으로 돌아가게 하고 모난 것 없이 굴러가게 하지만 이 대로만 하는 사고방식을 가지면 가질수록 우리는 제대로 생각하지 못하는 사람이 되고만다 군인을 생각을 해보자 군인의 본래 역할은 국토와 국민들을 적으로부터 수호하는 임무를 가진다 그렇다면 적이 위협적인 행동을 하거나 무엇인가 수상한 움직임을 보이면 ..

심리학 2021.04.03

사회심리학과 글쓰기

사회심리학의 가장 기본적인 가정 중 하나는 사람들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객관적인 환경이 아니라 그들이 세상을 어떻게 생각하느냐 하는 세계관이다. 그래서 개인적인 삶이나 사회적 문제에서 간혹 곤경에 빠지는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그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신에게 변명하는 일종의 스토리나 내러티브를 눈여겨 봐야한다. 스토리가 잘못된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내러티브(Narrative)란 실화나 허구의 사실들을 묘사하는 것으로 사전적 의미도 '묘사','서술'로 쓰인다) 그렇다면 스토리가 잘못 되었을 때 우리는 제대로 기능하지 않는 내러티브를 만들어 내는데, 이것을 어떻게 바꿀 수 있을까 특별히 심각한 경우가 아니라면 굳이 인지행동치료나 임상심리학을 통학 심리치료를 할 필요까진 없을것이다 제임스 페니베이..

심리학 2021.04.03

심리학의 원리 (5) - 사고(이해)

습관 습관과 심리에 대해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신경체계에서도 외부 대상의 인상은 스스로 적절한 경로를 만들어 간다. 외부에서 들어오는 자극의 경우에도 이 같은 결정적인 형상이 일어난다" - 레옹 뒤몽- 이다. 이것이 무슨말이냐 하면 외부에서 들어오는 자극에 대해 심리적으로 반응이 되는 것도 반복이 되면 될수록 습관이 된다는 것이다 우리가 어릴적에 공포영화를 본다면 상당히 무서워 하는경우가 많지만 이걸 계속보고 공포게임도 하다보면 이것에 대한 자극적 반응도 경로가 형성이 되어 특별히 생소한 자극이 아닌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인 다는 것이다 우리가 습관에 대해선 얼마나 중요한 지 알고 있을텐데 그것이 만드는 신경체계에 대해 어떤 경로를 만들어 낼지는 본인의 몫일 것이다 의식 의식이라는 것은 눈에 두드러..

심리학 2021.04.03

심리학의 원리(4) - 감각

심리학에 대해서 얘기하는 데 왜 감각이라는 것이 나올까?? 음 이런말을 들어봤는 지 모르겠다 '당신 주변에 있는 것들이 당신 자신이다' 사람은 자신들이 감각적으로 경험했던 것들이 자신의 심리와 지식에 대해 많은 영향들을 미친다 공부에 대해서도 따로 포스팅을 하겠지만 예를 들어보자면 맹아들은 빛에 대한 공부를 똑같이 배우지만 그들은 그것을 이해하지 못하고, 자신들의 지식이 되지도 않는다 조금 극단적인 예였지만 그만큼 내가 보고, 듣고, 겪는 모든 것들이 나에게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것이라는 의미다 감각에 대해 분류를 해보자면 1.시각 2.청각 3.촉각 4.후각 5.미각 6.온도 감각 7.근육 감각 8.통증 이렇게 분류를 할 수 있겠지만 후각과 미각은 빼고선 생각하도록 하자 이건 '지각'적인 부분이 많이..

심리학 2021.03.31

청소와 심리

자기계발에 대한 관심이 많은 사람이면 한번쯤 들어봤을 '그 말' '아침에 일어나면 이불부터 개라' 이 이불을 개는 행위자체가 물론 작은 습관이나 행동에 대한 이야기도 있지만 오늘은 청소에 대한 얘기로 해보자 이 청소에 대해서 반발하는 사람들이 예를 드는 사람이 있다 "어수선한 책상이 어수선한 정신을 의미한다면, 텅빈 책상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아인슈타인- 하지만 워렌버핏도 빌게이츠도 책상은 깔끔하다... ㅎㅎ 예전 한 다큐멘터리에서 마이크로소프트 아시아지부장(?) 이였던 분도 집안이 상당히 깔끔했다 집안이 깔끔하면 무엇이 좋은가? 생각보다 당신이 행복해질 확률이 올라간다 인간의 에너지는 무한하게 작동하지 않는다 사람은 자면서 하루동안 있었던 일들(정보들)을 분류해서 정리해놓고 저장하고 깔끔하게 다시 ..

심리학 2021.03.3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