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리학

암시와 조작

넘버워니 2021. 4. 18. 20:34
반응형

 

암시라고 하면 우리는 나쁘거나 무서운 것이라고 많이들 생각한다.

물론 이걸 악용하는 사람들이 분명히 있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우리의 무의식 작용에서 항상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고

또 우리 주위에 엄청나게 많이 팽배해 있다.

 

이를 표현하는 용어가 베스트셀러인 '넛지'라는 책이 있다.

 

내가 사고싶어서 인터넷에서 주문한 것 같지만 그걸사기까지

은연중에 계속 반복되서 보게 된 상품처럼 말이다.

 

우리는 마트를 갔을 때 특정한 상표의 상품을 찾는 것이 아니면

가장 판매량이 높은 위치는 눈높이 근처에 있는 상품들이다.

이 위치의 중요성을 알기에 상품이 어디 진열될지는 '돈'으로 결정된다.

 

책을 사러가면 우리가 시선이 가장 많이가는 곳은 '책장'이 아닌

'가판대'에 있는 상품들이다. 그래서 사람들이 자주 찾는 베스트셀러책이

아닌 경우에는 일정 광고료를 내면 올려놓을 수 있는 '가판대'에 올려

책을 전시해놓을 수 있다.

 

이런거 뿐만이 아니다.

로버트 자이언스의 '자이언스 법칙'이라는 것이 있는데,

한 마디로 '접촉을 하는 횟수가 호감을 유도한다'는 법칙이다.

 

전에 글에서 변화를 위해선 긍정적인 것에 자주 '노출'이 되어야한다고 했다.

우리의 일상패턴이 부정적으로 가득했을 때에는 긍정적인 것들은

무의식적으로 '적'과 다름없다.

그래서 이것들을 배척시키고 억지로 변화시키려하면 할수록 반발이 심하다.

강제로 변화시키기 원한다면 정말 엄청난 의지와 노력이 필요하다.

하지만 BGM처럼 긍정적인 것들을 깔아두고, 긍정적인 글귀들을 자주 접하고

그럼 책들을 자주보고, 혹은 영상들을 자주보는 것이

가랑비에 옷이 젖듯이 변화되는 길이라고 하는 것도 이런 암시의 일종이다.

 

우리는 자주 접하는 횟수도 중요하고, 심리학의 원리부분에서 얘기했던

뇌에서도 '최신성'이 중요하기 때문에 내가 가장 최근에 보고 들은 것이 무엇인지가

중요하다고 했다. 내가 일을 끝나고 오는 길에 동기부여 영상이나

책소개 영상들을 본다면 집에와서 생산적인 일을 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처럼 말이다.

 

그럼 또 다른 활용방법이 뭐가 있을까?

 

예전에 정말정말 흔하게 자기계발서에 나왔던 방법이 있다.

목표를 글로 쓰는 것.

 

나도 최근엔 계속 목표를 매일같이 글로 쓰고있다.

근데 이 것의 원리는 내가 나의 목표를 계속 기억하고 상기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사람은 절대로 완벽하게 똑똑하지 않다.

내가 일을하거나 집안 가사를 하거나 어찌됐건 다른 짓 조금만해도

나의 목표는 금방 잊혀진다. 그리고 우선순위를 까먹게 된다.

 

이 것을 보고 헛소리 하고있네 라고 생각할지도 모르겠다

 

근데 예전에 봤던 책중에 실제로 '박사'인 대학교수가 쓴 책에 이런내용이 있었다.

자기도 자기계발서는 그냥 '머리아픈책들을 보다가 쉰다는 개념으로 보던책'이였고

'종이에 쓴다고 해서 이뤄지는 것은 절대 말도안되는 이야기'라고 생각했다고 한다.

그런데 한 2~3년쯤 계속 읽어가다보니 자기도 그냥 한번 해볼까? 라고 생각을 했다.

그리고 실제로 목표를 적었고, 그것을 보니 뭔가 환상처럼 이뤄지는게 아니라

자신이 그 종이를 보면서 목표를 이루기위한 행동으로 이어졌다고 한다.

그리고 그 박사님은 결국 '독일 외제차'를 살 수 있었다.

이 책의 제목은 '나는 자기계발서를 읽고 벤츠를 샀다'이다.

 

결국 '암시'와 '조작'이라는 것은 남이 만든것에 내가 편승할 수도 있고

내가 스스로 만들어서 이용할 수도 있다.

나는 아무암시도 안걸릴거야!! 라고 말하는 것은 소용이 없다.

뇌가 나도모르게 하고있는 것을 조종할 수 있는 사람은 없으니까.

그렇다면 이걸 좋은방향으로 사용하고 조금 더 조심하기 위해서

관찰력과 사고력을 지닌다면 우리는 우리가 원하는 삶을 더 만들 수 있지 않을까?

반응형

'심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존감  (0) 2021.04.20
가스라이팅  (0) 2021.04.19
미러링 (매칭)  (0) 2021.04.15
무기력 상태  (0) 2021.04.14
뇌와 꿈  (0) 2021.04.13